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16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69개 세 글자:310개 네 글자:503개 다섯 글자:235개 여섯 글자 이상:295개 모든 글자:1,513개

  • : (1)일반 백성들이 사는 집.
  • : (1)일반 백성들 사이. (2)관청이나 정부 기관에 속하지 않음.
  • : (1)자극에 빠르게 반응을 보이거나 쉽게 영향을 받음. 또는 그런 상태.
  • : (1)‘민값’의 옛말.
  • : (1)물건을 받기 전에 먼저 주는 물건값.
  • : (1)중국 쓰촨성 민산산맥(岷山山脈)에서 시작하여 양쯔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793km. ⇒규범 표기는 ‘민장강’이다. (2)중국 푸젠성 북부를 동남쪽으로 흘러 남중국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20km. ⇒규범 표기는 ‘민장강’이다. (3)생강을 설탕물에 조려 만든 과자.
  • : (1)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의 문신(1360~1396). 공양왕 4년(1392) 조준, 정도전 등이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할 때 반대하여 살해될 뻔하였으나 이방원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다. 그 후 한성부윤, 대사헌 따위를 지냈다.
  • : (1)조선 전기의 문신(?~1460). 본관은 여흥(驪興). 시호는 장절(章節). 문경공(文景公) 민영모(閔令謨)의 후손이며, 참판(參判) 민불탐(閔不貪)의 아들이다.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였다.
  • : (1)‘면경’의 방언
  • : (1)‘핑계’의 방언 (2)‘트집’의 방언
  • : (1)‘면경’의 방언
  • : (1)국민의 품격.
  • : (1)백성이 소유한 논밭의 결수(結數).
  • : (1)민간과 경찰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면경’의 방언 (3)‘명경’의 방언
  • : (1)조선 시대에, 관아의 임시 비용으로 쓰기 위하여 해마다 군민(郡民)으로부터 거둔 곡식, 돈 따위를 보관하던 창고.
  • : (1)백성의 빈곤.
  • : (1)고려 초기에 둔 육관의 하나. 호구(戶口)ㆍ공부(貢賦)ㆍ재정(財政)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성종 2년(983)에 두어 14년(995)에 상서호부로 고쳤다. (2)민간과 관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3)여러 가지 민속 악기로 구성한 관현악. 단소ㆍ젓대ㆍ피리ㆍ태평소 따위의 관악기, 해금ㆍ가야금 따위의 현악기, 북ㆍ장구ㆍ징 따위의 타악기와 양금 따위로 구성한다. 풍부한 울림과 독특한 연주 수법으로 민족 음악의 특성을 나타낸다.
  • : (1)민간에서 행하여지는 교육. (2)민간에서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신앙.
  • : (1)예로부터 민중이 일상생활에서 써 온 도구나 기구. 공예품에 상대하여 실용적인 농기구, 문방구, 상구(商具), 놀이 기구 따위를 이른다.
  • : (1)민주 정치를 시행하는 나라.
  • : (1)민간인으로 구성한 부대. 또는 그 구성원. (2)‘민간인’과 ‘군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장기판에서 두 사(士)가 다 죽고 장(將)만 남은 궁(宮). (2)백성이 곤궁함. 또는 그런 곤궁.
  • : (1)국민의 권리. 특히 참정권을 이른다.
  • : (1)1959년 창단된 극단. 신극 협의회의 복귀를 계기로 국립 극장의 두 개 전속 극단 가운데 하나로 발족했다.
  • : (1)‘민급하다’의 어근.
  • : (1)조선 명종 때의 문신(1504~1568). 자는 경열(景說). 호는 관물재(觀物齋)ㆍ호학재(好學齋).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춘추관 편수관으로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1552년에는 동지사(冬至使)로 중국 명나라에 다녀왔다.
  • : (1)깃이 달리지 않은 옷깃.
  • : (1)‘면경’의 방언
  • : (1)꽃이 없고 홀씨로 번식하는 식물.
  • : (1)밖으로 날카롭게 드러난 칼이나 창 따위의 날.
  • : (1)백성들이 조세 따위를 내는 일.
  • : (1)화장을 하지 않은 얼굴.
  • : (1)남의 나라 영토에 머물러 사는 같은 민족끼리 조직한 자치 단체.
  • : (1)눈치가 빠르고 민첩하여 모든 일에 환하게 통달함.
  • : (1)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 : (1)백성의 소유로 되어 있는 논. (2)‘민답하다’의 어근.
  • : (1)백성의 덕성.
  • : (1)국민의 생활이나 문화 수준의 정도. (2)딱한 사정을 애석하고 서럽게 여김. (3)‘면도’의 방언
  • : (1)중국의 동북과 화북의 한랭한 기상 조건에서 육성된 재래종. 대, 중, 소의 세 종류로 다시 분류되며, 흑색의 피모, 곧은 주둥이와 처지고 큰 귀, 평평한 허리 등을 특징으로 한다.
  • : (1)‘면도’의 방언
  • : (1)‘민둥하다’의 어근.
  • : (1)‘스스럼없이’의 방언
  • : (1)‘스스럼없이’의 방언
  • : (1)포악한 정치 따위에 반대하여 백성들이 일으킨 폭동이나 소요. (2)사회의 질서와 도덕을 어지럽힘.
  • : (1)‘면례’의 방언
  • : (1)백성의 노력이나 재력. (2)정부 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음력을 위주로 하여 편찬한 책력(冊曆).
  • : (1)‘민련하다’의 어근.
  • : (1)백성으로부터 돈이나 물품을 거두어들임.
  • : (1)‘면례’의 방언
  • : (1)민간이 기관이나 공공시설을 세움. (2)1954년에 이원강 등이 국립 극장의 후원을 받아 창단한 극단.
  • : (1)국민을 괴롭히고 나라를 망치는 정치 때문에 국민이 고생하는 일.
  • : (1)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
  • : (1)백성들의 믿음. (2)‘민망하다’의 어근.
  • : (1)나무가 없는 산. ⇒규범 표기는 ‘민둥산’이다.
  • : (1)부지런히 힘씀.
  • : (1)자취나 흔적이 아주 없어짐.
  • : (1)‘면목’의 방언
  • : (1)자취나 흔적이 아주 없어짐.
  • : (1)나무가 없는 산. ⇒규범 표기는 ‘민둥산’이다.
  • : (1)눈앞이 아찔하며 잘 보이지 않고, 가슴 속이 답답하며 불안을 느끼는 증상.
  • : (1)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음.
  • : (1)강이나 호수 따위와 같이 염분이 없는 물. (2)백성의 재물. (3)‘밀물’의 방언
  • : (1)‘민민하다’의 어근.
  • : (1)여행할 때에 전문 숙박업소에서 묵지 않고 일반 가정집에서 묵음. 또는 그런 집. 보통 휴가철에 일정한 돈을 내고 농어촌 지역의 가정집에서 취사 및 숙박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2)‘민박하다’의 어근. (3)‘해골’의 방언
  • : (1)조선 세조 때의 무신(1419~1482). 자는 분충(奮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이 되어, 여산군(驪山君)에 봉하여졌다.
  • : (1)‘민영 방송’을 줄여 이르는 말.
  • : (1)개인의 권리와 관련된 법규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상사법(商事法) 따위의 특별 사법(私法)을 제외한 보통 사법. (3)민법을 규정한 법전. 총칙, 물권, 채권, 친족, 상속 따위의 다섯 편과 부칙(附則)으로 되어 있다.
  • : (1)‘민주 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을 줄여 이르는 말. (2)고려 시대의 문신(?~1377). 호는 서한당(捿閑堂). 시호는 문도(文度). 밀직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조선 태종의 왕비인 원경 왕후의 조부이다.
  • : (1)민간인으로 구성한 부대. 또는 그 구성원. (2)중세 유럽의 상공업 도시에서 외적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민간 차원에서 편성한 군대.
  • : (1)민간의 힘으로 쌓아 만든 논의 보. (2)민간의 신문. (3)백성의 힘으로 쌓아 만든 보루(堡壘). (4)민간에서 쓰는 보자기. (5)1905년에 창간된 중국 혁명 동맹회의 기관지. 월간지로 24호까지 발행된 후 일본 정부의 압력으로 금지되다가, 비밀리에 발행된 1910년 26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쑨원(孫文)의 삼민주의를 비롯한 혁명 이념을 전파하였다.
  • : (1)백성들이 소유한 논밭에 대한 결복(結卜). (2)국민의 공복(公僕). (3)국민의 복리.
  • : (1)국민을 위주로 함.
  • : (1)함경북도 무산군 어하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671미터. (2)함경북도 무산군 어하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592미터.
  • : (1)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둔 삼부(三部)의 하나. 육조 가운데 호구(戶口), 공부(貢賦), 전량(錢糧)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민조(民曹)를 고친 것이다. (2)고려 시대에, 육조 가운데 호구, 공부, 전량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공민왕 18년(1369)에 판도사를 고친 것이다.
  • : (1)‘명성 황후’를 낮잡아 이르는 말.
  • : (1)‘외상’의 옛말.
  • : (1)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을 빗어 넘기는 작은 빗. ⇒규범 표기는 ‘면빗’이다.
  • : (1)사법적인 법률관계에서 일어나는 일. (2)고민하다가 죽음. 또는 괴롭게 죽음.
  • : (1)포학한 정치를 견디지 못하여 백성들이 흩어짐.
  • : (1)‘면상’의 방언 (2)‘면상’의 방언
  • : (1)일반 국민의 생활 및 생계. (2)생명을 가진 백성.
  • : (1)국가나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국민.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을 이른다. (2)‘-면서’의 방언
  • : (1)일반 국민이 뽑음.
  • : (1)민간 기관에서 설립하거나 설치함. 또는 그렇게 세운 시설.
  • : (1)백성의 성질. (2)국민의 소리라는 뜻으로, 사회 여론을 이르는 말.
  • : (1)‘안재홍’의 호. (2)백성들의 살아가는 형편.
  • : (1)억울한 사정에 대한 백성들의 호소. (2)‘민사 소송’을 줄여 이르는 말. (3)어리석음을 비웃음. (4)‘면소’의 방언
  • : (1)민간 생활과 연결된 신앙, 습관, 풍속, 전설, 기술, 전승 문화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민속하다’의 어근.
  • : (1)‘맨손’의 북한어.
  • : (1)민간에서 필요한 것. (2)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성인(聖寅). 예종 1년(1469)에 ≪세조실록≫을 편찬할 때, 사초(史草)를 고쳐 썼다가 발각되어 의금부에 수감되었다. (3)사대부 이하 민간의 부녀자들이 액자나 병풍, 베갯모 따위에 취미로 놓는 자수.
  • : (1)여행할 때에 전문 숙박업소에서 묵지 않고 일반 가정집에서 묵음. 또는 그런 집. 보통 휴가철에 일정한 돈을 내고 농어촌 지역의 가정집에서 취사 및 숙박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 : (1)얇게 썬 고기.
  • : (1)민간의 풍습.
  • : (1)국민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주의와 방침. (2)백성이 살아가는 데 중요한 시기라는 뜻으로, 봄갈이ㆍ김매기ㆍ가을걷이 따위 일을 하는 바쁜 농사철을 이르는 말.
  • : (1)조선 초기의 문신(?~1453). 호는 돈암(遯菴). 문종 때 이조 판서로 있다가, 단종 1년(1453) 계유정란 때 김종서의 일파라 하여 수양 대군에게 피살되었다.
  • : (1)백성의 마음.
  • : (1)‘민어’의 방언
  • : (1)민간에서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약. 처방에 의하여 조제하는 한약이 아니라 주로 경험적인 효력에 의거한 약초를 이른다.
  • : (1)민어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60~90cm이고 길고 납작하다. 주둥이는 둔하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다. 등 쪽은 회청색, 배 쪽은 담색이다. 식용하며 부레는 부레풀을 만든다. 한국 서남 연해, 중국 동남해,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 (1)민간인이 경영하는 사업.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민으로 끝나는 단어 (843개) : 혈민, 개인농민, 모사프라민, 린시도민, 번민, 트리에틸아민, 다이아민, 이수민, 수라민, 히드록실아민, 방민, 스코폴라민, 알칼로이달아민, 톤질아민, 면민, 주거민, 황민, 생사요민, 생리 활성 아민, 박테리오플라스민, 류산암페타민, 메톡사민, 레신아민, 지성감민, 두국병민, 지민, 구호민, 이세민, 몰시도민, 계약 이민 ...
민으로 끝나는 단어는 84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민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16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